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조론

본문

한자1
[肇論]
한자2
뜻(설명)
1권. T1858. 후진(後秦)의 승조(僧肇) 지음. 전체의 대의를 개괄하는 「종본의(宗本義)」를 이어 「물불천론(物不遷論)」「부진공론(不眞空論)」「반야무지론(般若無知論)」「열반무명론(涅槃無名論)」 등 다섯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끝에는 「유유민서문(劉遺民書問)」과 「답유유민서(答劉遺民書)」가 부록으로 붙어 있다. 삼론종(三論宗)에서 말하는 만유제법이 자성이 없어 공하나 그것은 상대적 공이 아니고, 언어 사려가 끊어진 절대적 묘공(妙空)이라는 이치를 밝힌다. 주석서도 많은 편으로 진대(陳代)의 혜달(慧達), 당대(唐代)의 원강(元康) 및 혜징(惠澄)이 각각 『조론소(肇論疏)』3권을 지었다. 또한 원강은 『조론협과(肇論夾科)』 2권을, 광요(光瑤)는 『조론주기(肇論註記)』 3권을, 준식(遵式)은 『조론주소(肇論注疏)』 6권을, 일본의 나카다 겐지로(中田源次郞)는 『조론급기주소(肇論及其註疏)』 등 20여 종을 각각 지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