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조신

본문

한자1
[調信]
한자2
뜻(설명)
신라시대의 승려. 세달사(世達寺, 뒤의 興敎寺)에 속했던 명주(溟州) 날리군의 농장 지장(知莊) 소임을 맡고 있던 시절에 군수 김흔(金昕)의 딸을 보고 반하여 낙산사 대비상(大悲像) 앞에 가서 만나게 되기를 수년 동안 기도하였다. 그러나 그녀는 이미 출가하여 자기의 소원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 것을 원망하며 불당 앞에서 울며 호소하다가 날이 저물고 지쳐서 잠깐 졸았다. 꿈에 그녀가 와서 “스님을 뵙고 항상 그리워하였으나 부모의 명으로 할 수 없이 시집갔습니다. 하지만 이제 스님과 함께 살고자 왔습니다.”라고 말하였다. 조신은그녀를 데리고 고향으로 가서 40여 년을 살면서 다섯 남매를 낳았다. 살림이 구차하여져서 사방으로 떠돌며10년 동안 걸식하다가 명주 해현령(蟹縣嶺)에서 15세 된 큰 아들이 굶어 죽자 길가에 묻고, 우곡현(羽曲縣)에 가서큰길가에 오막살이를 짓고 머물렀다. 두 부부가 늙고 병들어 걸식도 할 수 없어지자, 열 살 되는 딸이 밥을 빌러 다니다가 개에게 물려 돌아와 앞에 쓰러져 우는 모습을 보고 부부도 함께 통곡하다가 마침내 아내가 눈물을씻고 “내가 당신을 처음 만났을 때는 나이도 젊고 얼굴도 아름다웠는데 오십 년 동안 고락을같이하다 보니 이제는 늙고 병들어 빌어먹기도 어렵고 자식들도 헐벗고 굶주려 어찌할수 없는 지경이 되었소. 부부가 함께 다니면서 고생하는 것보다는 따로 헤어져서 살아 나갈 길을찾는 것이 좋겠소.”라고 말하였다. 그리하여 부부가 아이를 둘씩 나누어 데리고 남북으로 길을 떠나려 하다가 문득 깨어 보니한동안의 꿈이었다. 하룻밤 사이에 머리가 세고, 세상 생각이 허망하게 사라지자 대비성상 앞에 무수히참회하고 해현령에 아이 묻은 자리를 파 보니 석미륵상(石彌勒像)이 나왔다. 근처의 사찰에 모시고, 돌아가서 지장(知莊)의 책임을 사퇴하고, 정토사를 짓고 정업(淨業)을 부지런히 닦았다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