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승다라니경
본문
한자1
[尊勝陀羅尼經]
한자2
ⓢ
ⓟ
ⓣ
뜻(설명)
1권. 당나라 때인 679년(의봉 4) 두행의(杜行顗) 번역. 석존이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있으면서 선주천자(善住天子)를 위하여 재난을 덜고 오래 살 수있는 묘법으로 독송하기를 권한 다라니경. 676년 계빈국의 불타파리(佛陀波利, Buddhapāli)가 중국에 와서 오대산에 들어갔더니, 한 노인이 문득나타나 “『존승다라니경』은 일체중생의 악법을 멸하는 것이다. 너는 이 경을 가져 왔느냐?”라고 물었다. 곧 인도에 돌아가 이 경을 가져온 것을 당 고종이일조(日照)와 두행의에게 명하여 번역하게 하였다. 다른 번역으로는 불타파리 번역 『불정존승다라니경(佛頂尊勝陀羅尼經)』, 일조(日照) 번역 『최승불정다라니정제업장주경(最勝佛頂陀羅尼淨除業障呪經)』, 의정(義淨) 번역 『불정존승다라니경』, 선무외(善無畏) 번역 『존승불정수유가법궤의(尊勝佛頂修瑜伽法軌儀)』, 불공(不空) 번역 『불정존승다라니염송의궤법(佛頂尊勝陀羅尼念誦儀軌法)』, 법천(法天) 번역 『최승불정다라니경(最勝佛頂陀羅尼經)』, 법천 번역 『일체여래오슬니사최승총지경(一切如來烏瑟膩沙最勝總持經)』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