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종린

본문

한자1
[宗璘]
한자2
뜻(설명)
(1127~1179) 고려시대 승려. 자는 중지(重之), 속성은 왕(王)씨. 고려의 종실(宗室). 13세에 원명국사(圓明國師) 징엄(澄儼)에게 출가하고 15세에 불일사(佛日寺)에서 계를 받았다. 의종 때에 수좌(首座)가 되어 여러 사찰에 있었고, 생활은 언제나씻은 듯하여 돈이나 양식이 없어도 태연하였으며, 법문(法門)의 종장(宗匠)이 되었다. 승통이 된 이듬해 궐내에 들어가의종의 동생 충희(冲曦)를 출가하게하였다. 1171년 명종의 청으로 내전에 들어가 만수가사(滿繡袈裟)를 받고, 53세에 입적하였다. 시호는 현오국사(玄悟國師)이다. 이지명(李知命)이 비문을 지었으며, 유공권(柳公權)이 해서로 쓰고 민구(敏求)가 새겨 1185년에 세운 현오국사탑비(玄悟國師塔碑)가 경기도 용인시 수지읍 신봉리 서봉사지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