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용록
본문
한자1
[從容錄]
한자2
ⓢ
ⓟ
ⓣ
뜻(설명)
6권. 본래 이름은 『만송노인평창천동각화상송고종용암록(萬松老人評唱天童覺和尙頌古從容庵錄)』. 중국 조동종 만송행수(萬松行秀) 엮음. 1224년 간행. 만송이 1223년에 연경(燕京) 보은사(報恩寺)에 종용암(從容庵)을 짓고 기거하던 중 담연거사(湛然居士) 야율초재(耶律楚材)의권청으로 송나라 소흥(紹興) 연간(1131~1162)에 굉지정각(宏智正覺)이 고덕의 고칙(古則) 100칙(則)을 찬집해서 그 낱낱에 송고(頌古)를 붙인 「굉지송고(宏智頌古)」에 시중(示衆)평창(評唱)착어(著語)를 붙이고 암자 이름을 책명으로 한 것이다. 『벽암록(碧巖錄)』과 함께 선림(禪林)에 유행하였다. 『벽암록』이 임제종에 기초하고 있다면 『종용록』은 조동종의 종풍을 거양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