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구사종

본문

한자1
[俱舍宗]
한자2
뜻(설명)
세친(世親)이 지은 『구사론(俱舍論)』을 근본 경전으로 하고 세운 종(宗). 부파 설일체유부종(說一切有部宗)의 일파. 불멸 후 9백 년경 세친이 『비바사론(毘婆沙論)』을 연구하다 의심을 품고 경부(經部)를 배우면서 그 장점을 취하여 『비바사론』을 비평하고 마침내 새로운 기축(機軸)을 열었다. 그 뒤 철혜(徹惠)·세우(世友)·안혜(安慧) 등이 주석서를 지어 한때 인도에 성행하였다. 진나라 563년(천가 4) 진제(眞諦)가 『구사론』을 번역, 비로소 중국에 전파되었다. 현장(玄奘)이 다시 번역하자 『구사론』의 연구가 활기를 띠었는데, 그 문하에 원유(元瑜)·신태(神泰)·보광(普光)·법보(法寶) 등이 나서 『광기(光記)』·『보소(寶䟽)』 등을 지어 『구사론』 연구가에게 좋은 길잡이가 되었다. 그 뒤 회소(懷素)·규기(窺基)·원휘(圓暉)·둔린(遁麟)·혜휘(慧暉) 등이 구사론 연구를 이어갔다. 구사종의 대의(大意)는 설일체유부종의 삼세실유(三世實有), 법체항유(法體恒有)의 종지(宗旨)를 말함에 있으나 안으로는 경부(經部)의 현재 유체(有體), 과거 무체(無體)에 동의(同意)를 나타냈다. 곧 무표색(無表色)·14불상응법(不相應法)·3무위(無爲) 같은 것도 유부종(有部宗)에서 실체가 있다고 함에 반하여 그것은 가정적(假定的) 존재라고 하는 것과 같은 것이 그 일례이다. 지증국사비(碑)에 “毘婆娑先至則…”이란 문구가 있다. ⇨ 아비달마구사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