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지삼보
본문
한자1
[住持三寶]
한자2
ⓢ
ⓟ
ⓣ
뜻(설명)
세상에 머물며 불법을 지속하게 하는 삼보. 3종 삼보(三寶) 또는 6종 삼보 중의 하나이다. 이에 대승과 소승이 다르다. (1) 대승의 주지삼보는 다시 화용(化用)삼보와 실덕(實德)삼보로 나뉘는데, 화용삼보에는 부처님의 대비(大悲)가 법계에 두루하여 팔상(八相) 성도하는 화용의 주지불보(佛寶), 교화받을 중생의근기에 응하여 말하는 교리가 널리 퍼져서 세상을 이롭게 하는 화용의 주지법보(法寶), 그 교법대로 교화해서 성문연각보살이 되게 하는 화용의 주지승보(僧寶)가 있다. 화용(化用)은 교화하는 작용을 뜻한다. 실덕삼보에는 부처님의 법신이 상주 불변하는 실덕의주지불보와 법성(法性)이 항상하는 실덕의 주지법보와 부처님의승행(僧行)이 없어지지 않는 실덕의주지승보가 있다. (2) 소승의 주지삼보는 흙을 빚고 나무를 깎아 만든 불상이나 그림으로 그린 탱화를 주지불보, 종이에 글로 쓴경전을 주지법보, 범부 모습의 비구들을 주지승보라 한다. 이를상주지(相住持)라한다. 또한 법성의 진여는 범부와 성인이 모두 의지처로 삼는데, 이것은 이주지(理住持)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