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중경목록

본문

한자1
[衆經目錄]
한자2
뜻(설명)
한역(漢譯)된 경론의 목차를 유별(類別)로 기록한 것을 ‘경록(經錄)’이라 한다. 최초의 경록은 삼국시대 때 주사행(朱士行)이 기록한 『한록(漢錄)』이며 도안(道安)의 『종리중경목록(綜理衆經目錄)』이 완성된 이후에 차츰 형식을 갖추어 ‘중경목록’이라 부르게 되었다. 대장경목록(大藏經目錄)일체경목록(一切經目錄)장경목록(藏經目錄)이라고도 한다. (1) 7권. K1054, T2146. 수(隋)나라 때 법경(法經) 등 20인이 칙명을 받아 594년(개황 14) 6월에서 8월 사이에 편찬한 목록. 별칭으로『법경록(法經錄)』『수중경목록(隋衆經目錄)』『수칠권록(隋七卷錄)』이라고도 한다. 후한시대부터 수나라 때에 이르기까지 번역된 불전의 목록이다. 총수(總數) 2,257부5,310권을 수록하였다. 대승수다라장록(大乘修多羅藏錄), 소승(小乘)수다라장록, 대승비니장록(大乘毘尼藏錄), 소승(小乘)비니장록, 대승아비담장록(大乘阿毘曇藏錄), 소승(小乘)아비담장록, 불멸도후초집록(佛滅度後抄集錄), 불멸도후전기록(傳記錄), 불멸도후저술록(著述錄) 등 9록(錄)으로 나누고, 앞의 6록을 다시 일역분(一譯分)이역분(異譯分)실역분(失譯分)별생분(別生分)의혹분(疑惑分)위망분(僞妄分) 등6분으로 나누었으며, 초록(抄錄) 이하인 뒤의 3록 각각에 서역현성분(西域聖賢分)차방제덕분(此方諸德分) 등 2분을 두었다. (2) 5권. T2147. 수나라 때에 여러 역경 사문(譯經沙門)과 학사들이 칙명을 받고 찬술하여 602년(인수 2)에 완성하였다. 주된 찬자는 대흥선사(大興善寺)의 언종(彦琮)이다. 『수중경목록(隋衆經目錄)』『수인수년내전록(隋仁壽年內典錄)』『인수록(仁壽錄)』『언종록(彦琮錄)』 등이라고도 한다. 단본(單本)중번(重翻)현성집전(賢聖集傳)별생(別生)의위(疑僞)궐본(闕本)의 6종으로 나누고, 단본에 370부 1,786권, 중번에277부 583권, 현성집전에 41부 164권, 별생에810부 1,288권, 의위에 209부 490권, 궐본에 402부 747권 도합 2,109부5,058권을 수록하였다. (3) 5권. K1056, T2148. 당(唐)나라 때 정태(靜泰)가 663년에서 665년 사이에 편찬하였다. 별칭으로『대당동경대경애사일체경론목(大唐東京大敬愛寺一切經論目)』『정태록(靜泰錄)』이라고도 한다. 동경의 대경애사에 소장되어 있던 불전을 모두 사경하고 만든 목록이며, 언종 등이 찬한 『중경목록』을 증보한 것이다. 대부분은 언종의 『중경목록』과 같으나 궐본에서 새로 20부 21권을 찾아 싣고, 아울러 현장 전후 새로 번역한 75부 1,335권을 더하여 모두 2,219부 6,994권이 수록되었는데, 실제로는 2,444부 6,580권이 된다. 숫자상으로 차이가 있는 것은 아마도 오사(誤寫)가 있거나 다른목록과의 착간에서 비롯된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