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관대사유고
본문
한자1
[中觀大師遺稿]
한자2
ⓢ
ⓟ
ⓣ
뜻(설명)
(목판본. 불분권 1책. 29.0×19.5cm) 조선시대승려 중관해안(中觀海眼, 1567~?)의 저술로 1646년(인조 24) 개간하였다. 발행지는 미상이다. 서울대학교소장본은 학소거사(鶴巢居士)가 1912년에 귀정사(歸政寺)의 장판고(藏板庫)에 보관되어 있던 유고의목판을 찍어 낸 후쇄본이다. 서울대학교소장본을 저본으로 하여 『한국불교전서』에 수록하였다. 서문이 있으며, 유고 끝에 발문겸 간단한 행장이실려 있다. 시 163수, 문 21편이 수록되어 있는데, 문에는 제문 3편, 천소(薦疏) 2편, 낙성재소(落成齋疏) 2편, 첩문(牒文) 1편, 상량문 2편, 기(記) 2편, 발(跋) 1편, 서(書) 4편, 설(說) 4편이있다. 시는 형식별로 배열되어 있으며 7언절구가 101편으로 가장 많다. 황일호(黃一皓), 박경신(朴慶新), 심광세(沈光世) 등 당시 고을 수령들과의교유시가 많으며, 당대의 스님들에게 준 시도 있고, 또 심회를읊은 시도 많다. 문 가운데 <신삭계첩(新削戒牒)>은 승려의 길에 들어서는 이에게 불제자로서 마땅히 지녀야 할 엄연한 자세를 적은 것이고, <무가암기(無可菴記)>는 암자를 왜 ‘무가(無可)’라고 짓게 되었는지를 설명한다. ‘유가(有可)’는 속제(俗諦), ‘무가(無可)’는 진제(眞諦)라는 논지이다. 또 <답도체부총융사서(畣都體府摠戎使書)>에서는 임진왜란이 끝난 후 승려들을 지휘하는책임자를 맡아 달라는 부탁을 거절함과 동시에 스님들이 산성을 쌓고 종이를 만들도록 하는 혹독한 부역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이에 응할 수 없음을 매우 간곡하게쓴 진정서로 총융사의 양해를 바라는 편지이다. 이는 당시 억불정책 아래에서의 승려들에대한 처우 상황을잘 보여주고 있는편지라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