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중흥사

본문

한자1
[重興寺]
한자2
뜻(설명)
1)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에 있는 사찰로 창건 시기는 알 수 없다. 고려 말 보우(普愚)가 중수하였고, 1713년(숙종 39)에 북한산성을 축성한 뒤 산성내에 위치한 중흥사를 증축하였다. 산성 안에는 성문과 수문(水門), 장대(將臺)와 창고 등을 지키기 위한 승군(僧軍)이 주둔했는데, 특히 중흥사는 북한산성 안의 용암사(龍巖寺)보국사(輔國寺)보광사(普光寺)부왕사(扶旺寺)원각사(圓覺寺)국녕사(國寧寺)상운사(祥雲寺)서암사(西巖寺)태고사(太古寺)진국사(鎭國寺) 등을 관장하는 대사찰이었다. 대웅전을 중심으로 앞쪽에는 누각인 만세루(萬歲樓)와 나한전(羅漢殿), 동쪽에는 산신당(山神堂)이 있었다고 전하며, 대웅전 안에는 삼존불상이 봉안되어 있었다. 1915년에 홍수로 무너진 뒤 중건되지 못했고, 북한산성 내 장군봉과구암봉 사이에 있는 옛 절터는 1992년경기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2005년 불사를 새로 시작하여 2012년 대웅전을 준공, 2017년에는 만세루(萬歲樓)와 전륜전(轉輪殿)이, 2018년에는 도총섭(都摠攝)과 제2 요사채가 완공되어 과거의 모습을 되찾았다. 2) 평양직할시에 있던 사찰이다. 고려 태조가 신라의 황룡사9층탑을모방하여 탑을 세우고 창건하였다. 1010년(현종1) 11월 거란의 침입에 전소되었다. 1052년(문종 5)에 중수하였다. 1201년(신종 4)에 벼락으로 소실되었지만 고종 재위 중(1214~1259) 중창하여 금광명경도량(金光明經道場)을 개최하였다고 한다. 폐사 시기는 알 수 없다. 3) 양강도 삼수군 성거산(聖居山)에 있는 사찰이다. 1570년(선조 3)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되지만 자세한 연혁은 없다. 일제강점기 귀주사(歸州寺)의 말사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