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지공

본문

한자1
[指空]
한자2
뜻(설명)
(?~1363) 원나라 때의 인도 승려로서 범어 드야나바드라(Dhyānabhadra)를 제납박타(提納薄陀)라고 음역하고, 선현(禪賢)이라고 번역한다. 인도 마갈타국(摩羯陀國) 만왕(滿王, Pūrṇa)의 셋째 왕자로서 8살에 나란타사의 율현(律賢, Vinayabhadra)에게 출가했다. 19세에 남인도 능가국 길상산(吉祥山)의 보명(普明, Samantaprabhāsa)에게서 의발을 전해 받아 가섭존자(迦葉尊者)로부터 108대 조사가 되어 서역을 떠나 중국에 도착하여 호를 지공(指空, Śūnyādiśya)라고 하였다. 1326년(충숙왕 13)에 고려에 와서 금강산 법기도량(法起道場)에예배하고 숭복사(崇福寺)에 머물렀다. 1328년(충숙왕 15) 7월 연복정(延福亭)에서 계(戒)를 설하고 연도(燕都)에 돌아가 법원사(法源寺)를 창건하고 머물다 1363년(원나라 지정 2) 귀화방장(貴化方丈)에서 입적하였다. 1368년에 다비(茶毘)하여 대사도(大司徒) 달예(達叡)가 사리(舍利)를 모시고 고려에 오자 1372년(공민왕 21)에 부도를 양주 회암사(檜巖寺)에 세웠다. 『우슬니사비좌야다라니(于瑟抳沙毘左野陀羅尼)』 외 2부를 번역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