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눌
본문
한자1
[知訥]
한자2
ⓢ
ⓟ
ⓣ
뜻(설명)
(1158~1210) 고려시대의 승려로 호는 목우자(牧牛子), 속성은 정(鄭)씨로 황해도 서흥(瑞興) 출신이다. 8세에 사굴산파(闍崛山派) 종휘(宗暉)에게 출가하여 구족계를 받았으나 일정한 스승이 없이 도를 구하였다. 1182년(명종 12) 승과에 급제하여 창평(昌平; 현재 전남 담양) 청원사(淸源寺)에 머물렀다. 어느 날 『육조단경(六祖壇經)』을 보다가 스스로 깨닫고 육조혜능을 스승으로 모셨다. 1185년 예천 하가산(下柯山) 보문사(普門寺)에서 대장경을 열람하였다. 득재(得才)의 간청으로 팔공산 거조사에서 각 종파의 고승들과 몇 해 동안 정혜(定慧)를 익혔다. 1197년 참선하던 도반 몇 명과 지리산상무주암(上無住庵)에 머물며 외부 인연을 끊고 내관(內觀)에 힘써 선정에 이르렀다. 1200년 송광산 길상사로 옮겨 11년 동안 학자를 지도하고 법회를 열어 다수의 승속이 모여들어 대총림을 이루었다. 이들을 지도할 때 『금강경』, 『육조단경』, 『화엄론(華嚴論)』, 『대혜어록(大慧語錄)』 등을 중심으로 하였고, 성적등지문(惺寂等持門), 원돈신해문(圓頓信解門), 경절문(徑截門)의 3종을 세워 수행하게 하여 깊은 뜻을얻은 사람이 많았다. 억보산의 백운정사와적취암, 서석산의 규봉난야, 조월암 등은 모두 지눌이 창건하고 참선하던 곳이다. 1205년(희종 1) 희종이 즉위하여 송광산을 조계산으로, 길상사를 수선사로 이름을 바꾸고 만수가사(滿繡袈裟)를 보냈다. 1210년(희종 6) 송광사 선법당(善法堂)에서 설법하다 주장자를 잡은 채 법상에 앉아 세수 53세, 법랍 36세로 입적하였다. 시호는 불일보조국사(佛日普照國師), 탑호는 감로(甘露)이다. 문인으로는 천진(天眞), 확연(廓然), 수우, 인민(仁敏), 가혜(可慧), 혜심(慧諶) 등 다수가있으며, 저서로는 『정혜결사문(定慧結社文)』, 『수심결(修心訣)』, 『계초심학인문(誡初心學人文)』,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法集別行錄節要幷入私記)』, 『원돈성불론(圓頓成佛論)』, 『간화결의론(看話決疑論)』, 『염불요문(念佛要門)』, 『상당록(上堂錄)』, 『법어(法語)』, 『가송(謌頌)』 등이있다. 김군수(金君綏)가 지은 비가 있었지만 불에 타서 1678년 백암(栢菴)이 다시 세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