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지엄

본문

한자1
[智儼]
한자2
뜻(설명)
1) (1464~1534) 조선시대의 승려로서 호는 야로(埜老), 당호는 벽송(碧松), 속성은 송(宋)씨로 전라북도 부안 사람이다. 28세에 허종(許琮)의 군대에들어가서 야인(野人, 女眞)들과 싸워공을 세우고 탄식하며 “심지(心地)를닦지 못하고 싸움터에만 쫓아다니는 것은 헛된 이름뿐이다.”라고 하고, 계룡산 와초암에 가서 조계(祖溪)에게 출가하였다. 연희(衍熙)에게 『능엄경(楞嚴經)』을 묻고, 정심(正心)에게 전등(傳燈)의 비밀한 뜻을 연구하였다. 지리산에 있으면서 지견이 더욱 밝아지고 계행이 청정하여 총림의종사(宗師)가 되었다. 『선원집(禪源集)』과 『별행록(別行錄)』으로 초학자들을 지도하여 여실한 지견(知見)을 세우게 하고, 다음 『선요(禪要)』와『어록(語錄)』으로 지해(知解)의 병을 제하고 활로(活路)를 열어주었다. 조선 중종 29년 제자들을 수국암에 모아 『법화경』을 강하다가 『방편품』에 이르러 “제법의 적멸상(寂滅相)은 말로 선설(宣說)할 수 없다”는 부분을 설명하다가 문을 닫고 1534년(중종 29) 세수 71세, 법랍44세로 고요히 입적하였다. 2) (600~668) 중국 수나라 말에서 당나라 초기의승려로서 화엄종의 2조이다. 호는 운화(雲華), 지상존자(至相尊者)라고도 하며, 속성은 조(趙)씨로 천수(天水) 사람이다. 신라 의상의 스승이다. 12세에 두순(杜順)의 문하에 들어가서, 14세에 출가했다. 법상(法常)에게 『섭대승론(攝大乘論)』을 배우고, 법림(法琳)에게 가서 연구에 전력하였다. 지정(智正)에게 『화엄경』을 배우다가 별교일승(別敎一乘)의 깊은 뜻을 알게 되었다. 지정의 뒤를 이어 종남산 지상사(至相寺)에 있으면서 화엄종을 드날렸으므로 지상대사(至相大師)라고 한다. 668년(총장 1) 10월 청정사에서 세수 69세로 입적하였다. 저서로는『화엄경수현기(華嚴經搜玄記)』, 『화엄공목장(華嚴孔目章)』, 『화엄오십요문답(華嚴五十要問答)』, 『금강반야경략소(金剛般若經略疏)』, 『일승십현문(一乘十玄門)』 등 20여 부가 있다. 3) 중국의 승려로 서량(西凉) 사람이다. 일찍이 출가하고 난 뒤 이름난 스승을 널리 찾아다녔다고 한다. 또 불경을많이 구하려고 인도에 가다가 계빈국에 이르러 불타선(佛陀先)에게 선법(禪法)을 받고, 불타발타라(佛陀跋陀羅)를 청하여 함께 돌아와 장안의 대사에 머물렀다. 뒤에 산동의 정사, 양도의 시흥사, 동교의지원사에 있었다. 유송(劉宋)시대인 427년(원가 4) 보운(寶雲)과 함께 『보요경(普曜經)』, 『광박엄정경(廣博嚴淨經)』, 『사천왕경(四天王經)』 등 14부 36권을 번역하였다. 다시 인도에 갔다가 돌아오는 길에 계빈국에서 병들어 세수 78세로 입적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