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탁
본문
한자1
[知濯]
한자2
ⓢ
ⓟ
ⓣ
뜻(설명)
호는 화악(華嶽, 1750~ 1839) 속성은 한(韓)씨, 본관은 청주이다. 어려서부터 속세를 싫어하여 황해도 배천 견불산 강서사(江西寺)의 성붕(性鵬)선사에게 출가하였다. 삼각산에 살아서 호를 삼봉(三峰)이라고도 한다. 금강산과 보개산(寶蓋山)에 머물렀고, 『수릉엄경(首楞嚴經)』을 만 번 읽어 근진(根塵)에서 벗어나 도를 깨쳤다고 전해진다. 영특하여 불교학에 통달하고 꾸준한 행실과 뛰어난문장력으로 세상에 이름을 떨쳤으며, 김정희(金正喜)와 교의가 두터웠다. 문손(門孫)인 혜소(慧昭)는 『삼봉집(三峰集)』 발문에서, “사미(沙彌) 때 금강산 유점사(楡岾寺)에서 뵈니, 칠순에 접어들었는데 용모는 단정하고 우아하였으며, 정신은 청명하였을 뿐만 아니라, 목소리도 낭랑하고 만면에 자비를 띠고 사람들을교화하므로 부처의 출세인 듯 여겼다.”라고 기록하였다. 1839년 5월 5일 금강산 장안사(長安寺) 지장암(地藏庵)에서 “한없는 세월 동안 여러선행을 두루 닦으니, 만법은 하나로 돌아가고 하나는 공으로 돌아가네. 자가의 본래 일을 이루지 못하니, 90년 세월이 허황한꿈이더라[窮劫歷修諸善行 萬法歸一一歸空 自家本事未成就 九十年充幻夢中].”라는 임종게(臨終偈)를 남기고 입적하였다. 통도사(通度寺)와 운봉사(雲峰寺)에 초상화가 봉안되어 있고, 수많은 제자들 중 뛰어난 제자로는 화담경화(華潭敬和)가있다. 저서로는 『삼봉집』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