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표
본문
한자1
[眞表]
한자2
ⓢ
ⓟ
ⓣ
뜻(설명)
신라시대의 승려로 경덕왕 때의 율사(律師)이다. 전주 벽골군 도나산촌 대정리 사람으로 속성은 정(井)씨, 아버지는 진내말(眞乃末), 어머니는 길보랑(吉寶娘)이다. 세속에 있을 때 활을 잘쏘았다고 한다. 어느 날 사냥하다가 논둑에서 쉬면서 개구리를 잡아 버들가지에 꿰어물에 담가 두고 산에 가서 사냥하다가 개구리는 잊어버린 채 그냥 집으로 돌아갔다. 이듬해 봄에 또사냥하다가 개구리 우는 소리를 듣고 문득 지난해 일이 생각나 가서 보니, 개구리들은 버들가지에꿰인 채 울고 있었다고 한다. 크게 놀라 뉘우치면서 “내가 어찌 내 한 입 먹자고 해가 넘도록 이렇게 고통을 받게 하였는가”라고 하며 발심 출가하여 계법(戒法)을 구하였다. 12세에 금산사 숭제(崇濟)에게 가서가르침을 청하니, 숭제가 “나는 당나라에 가서 선도삼장에게 학업을 배우고, 또 오대산에 가서 문수보살로부터오계를 받았다.”라고 하자, 진표가 “얼마나 닦으면 계를 얻을 수 있겠습니까?”라고 물었다. 숭제가 “정성이 지극하면 일 년에 되느니라.”라고 하면서 『사미계법전교공양차제비법(沙彌戒法傳敎供養次第秘法)』 1권과 『점찰선악업보경(占察善惡業報經)』 2권을 주고 말하기를 “네가 이 계법을 가지고 미륵보살과 지장보살앞에서 참회하고 간절히 구하여 계를 받아서 세상에 유전하도록 하거라.”라고 하였다. 그것을 받고 명산으로 다니다가 보안현(부안) 변산 부사의암에서 삼업을 닦으며 이칠일(二七日, 14일) 동안 기도하여 지장보살의현신수계(現身授戒)를 받았는데 이때가 740년(개원 28) 3월 15일이라고 한다. 다시 영산사에 가서 전과 같이 기도하여 미륵보살에게 『점찰법(占察法)』2권과 간자(簡子) 189개를 받았다. 그 뒤에 금산사를 창건하고 미륵보살의 장륙상(丈六像)을 조성하였다. 다시 금강산으로 가서 발연수(鉢淵藪)를 창건하고 7년 동안 점찰법회를 열었다. 부사의암에 돌아가다가 고향의 부친을 뵙고 진문대덕방(眞門大德房)에 머물 때 속리산의 영심(永深), 융종(融宗), 불타(佛陀) 등이 찾아와서 계법을 간청하자 교를 전하여 관정(灌頂)하고, 가사, 발우, 『공양차제비법(供養次第秘法)』, 『점찰선악업보경(占察善惡業報經)』, 간자 189주(柱) 등을 주었더니, 속리산의 길상초가 나는 곳에 길상사를 창건하였다. 발연사의 동쪽 큰 바위 위에 올라가서 죽으니, 제자들이 그대로 두고 공양하다가 뼈가 흩어지자 비로소 흙을 덮고 돌을세워 표시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