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의록
본문
한자1
[質疑錄]
한자2
ⓢ
ⓟ
ⓣ
뜻(설명)
(필사본. 불분권 1책. 24.5×16.9cm) 조선 말기 승려 금명보정(錦溟寶鼎, 1861~1930)의 저술로 발행 사항은 미상이다. 표제는 ‘호법질의록(護法質疑錄)’이며, 같은 저자의 『보살강생시천주호법록(菩薩降生時天主護法錄)』과 합철되어 있다. 「인간오십년하천일주야변(人間五十年下天一晝夜卞)」, 「일행장단변(日行長短卞)」, 「월륜결원변(月輪缺圓卞)」, 「대경자수변결의변(大經字數卞決疑辨)」, 「고성염불격금타고변설(高聲念佛擊金打皷卞說)」, 「수미산개론(須彌山槪論)」, 「조수증감변(潮水增減卞)」의순서로 되어 있다. 질문이나 의문점에 대한 답변 형식을 취하고 있으며, 경론을인용하여 개념을 설명하고 평론을 덧붙였다. 『대집경(大集經)』『인본경(因本經)』 등의 경전과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대비바사론(大毘婆沙論)』과 같은 논서, 『석씨회요(釋氏會要)』『불조역대통재(佛祖歷代通載)』 등 여러 유형의 서책들을 인용하였다. 내용은 인생과 자연 현상, 업의 과보와 계율, 보조지눌의 생애와 수행, 선(禪)의 전법(傳法), 『화엄경』의 글자 수, 염불 정토 등 다양하다. 첫 번째 글에서는 낮과 밤의 주기, 계절의 순환 등 우주 운행의 시간대와 인생을 대비시켜 설명하였고, 두 번째 글에서는 계절별로 낮의 길이가 다른 이유와 기후 변화를 적도 위 태양의궤적을 통해 설명하였다. 세 번째 글에서는매월 날짜별로 달라지는 달의 모습, 죄의 경중에따른 지옥의 종류, 공양 시간과횟수에 관한 계율 규정, 수미산이있는 화장도(華藏圖)에 대한 설명, 부처와조사가 전한 심체(心體) 및 전등 계보 등 많은 주제들을 다루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