징관
본문
한자1
[澄觀]
한자2
ⓢ
ⓟ
ⓣ
뜻(설명)
(?~839) 중국당나라 때의 승려로 화엄종의 제4조이다. 자는 대휴(大休), 속성은 하후(夏侯)씨로서 절강성 월주 산음 사람이다. 청량산에 있었으므로청량대사(淸凉大師)라고 한다. 11세에 패선씨(霈禪氏)를 섬기고, 14세에 승려가 되었다. 성선사(醒禪師)와 담일(曇一)에게 계율을 배우고 현벽에게 삼론종을 배웠으며, 『기신론(起信論)』과 화엄종을 법장(法藏)과 법선(法詵)에게 배우고, 천태종을 담연(湛然), 남종선(南宗禪)을유충(惟忠)과 도흠(道欽), 북종선(北宗禪)을 혜운(慧雲)에게서 배웠다. 불교의 교학과 내외의 학예(學藝)를 폭넓게연구하였다. 주로 화엄교에 관한 저술과 종의(宗義)를 밝혀 넓히기 위해 노력하였다. 현수(賢首)가 죽은 뒤 그의 제자인 혜원(慧苑)이 스승의 학설에 어기는 논을 펼쳤으므로 이에 분개하여 종지(宗旨)의 전통에어긋나는 것을 바로잡는 것을 책임으로 삼고, 특히 5교의 교판을 확실히 하며 4종 법계의 성기설(性起說)을 대성(大成)하였다. 그때 극히 성하던 선종과의 융화를 꾀하여 교선일치론(敎禪一致論)의 기초를 마련하였다. 당나라 때인 796년(정원 12) 반야삼장이 40권 『화엄경』을 번역하는 데 참여하고, 뒤에 그 『소(疏)』 10권을 지었다. 경을 내전에서 강하는 데 있어서 그 묘법이 임금의 마음을청량하게 하였다고 하여 덕종이 청량법사라 하고, 교수화상(敎授和上)으로 삼았다. 헌종이 화엄법계의 뜻을 물어 활연히 깨닫고 대통청량국사(大統淸凉國師)라 불렀다. 키가 9척 4촌에 달하며, 손을 드리우면 무릎을 지나쳤다고 한다. 9조(朝) 7제(帝)의 문사(文師)가되었으며, 당나라 때인 839년(개성 4)에 세수 102세로 입적했다. 저서로는 『화엄경주소(華嚴經註疏)』, 『화엄경수소연의초(華嚴經隨疏演義鈔)』, 『화엄경강요(華嚴經綱要)』, 『화엄현담(華嚴玄談)』, 『화엄약의(華嚴略義)』, 『법계현경(法界玄鏡)』, 『삼성원융관(三聖圓融觀)』 등 4백여 권이 있으며, 법을 전한 제자가 1백여 명에 달하는데 종밀(宗密), 승예(僧叡), 보인(寶印), 적광(寂光)을 4철(哲)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