징엄
본문
한자1
[澄儼]
한자2
ⓢ
ⓟ
ⓣ
뜻(설명)
고려시대 승려로서 처음 이름은 징길(澄佶)이고호는 복세(福世), 시호는 원명국사(圓明國師)이다. 고려 숙종의 넷째 아들로 1097년(숙종 2) 8세에 흥왕사(興王寺)의 대각국사(大覺國師) 의천(義天)에게 귀의하여 다음 해 명경전(明慶殿)에서 승려가 되고 불일사(佛日寺)에서 구족계를 받았다. 1105년(숙종 10) 16세에 복세승통(福世僧統), 1122년(인종 즉위)에 왕명으로 오교도승통(五敎都僧統)이 되었다. 홍원사(洪圓寺), 개태사(開泰寺), 귀신사(歸信寺) 등에 주석하였다. 그 후 흥왕사(興王寺)에서 10년간 머물다 1141년(인종 19) 세수 52세, 법랍 44세로 입적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