찰
본문
한자1
[刹]
한자2
ⓢ
ⓟ
ⓣ
뜻(설명)
1) ⓢ kṣetra. 범어 크셰트라로서 음역으로 체다라(掣多羅), 차다라(差多羅), 찰다라(刹多羅), 흘차달라(紇差怛羅), 찰마(刹摩)라고도 한다. 토전(土田), 국(國), 처(處)로 번역하며 국토를 말한다. 불국토를 불찰이라고 하는 것과 같다. 2) 제저(制底)와 같은 의미이다. 3) ⓢ Lakṣatā. 범어 락샤타의 음역으로서 찰(檫)이라고도 한다. 탑의 꼭대기에 있는 장대를 말한다. 후세에 찰간이라고 하는 것은 나무나 쇠로 깃대 모양을 만들고 꼭대기에 보주염형(寶珠焰形)을 만들어 금속으로 장식하여 불당 앞에 세운 것을 말하는데, 이것으로 말미암아 사찰을 금찰(金刹), 범찰(梵刹), 사찰(寺刹)이라고 부르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