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수천안관세음보살모다라니신경
본문
한자1
[千手千眼觀世音菩薩姥陀羅尼身經]
한자2
ⓢ
Nīlakaṇṭhakasūtra
ⓟ
ⓣ
뜻(설명)
1권. K293, T1058. 당(唐)나라 때 보리유지(菩提流支, Bodhiruci)가 709년 서숭복사(西崇福寺)에서 번역하였다. 줄여서 『모다라니신경』, 『천수관음모다라니신경』, 『천수천안모다라니경』, 『천수천안모다라니신경』이라고 한다. 천수천안관세음보살의 모(姥)다라니와 25인(印)을 설한 경전으로서 밀교 의궤의 성격이 강하다. 이 경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뉘는데, 첫 번째 부분에서는 천수천안관세음보살의 모다라니를 제시하고, 두 번째 부분에서는 25가지의 수인에 대해 설명한다. 모다라니에 관한 부분에서는 관세음보살이 모(姥)다라니로써 모든 마군을 항복시켰다는 것과 그만큼 모다라니의 위신력이 불가사의함을 강조하고 있고, 몸을 보호해 주는 수인을 설명하는 부분에서는 각각의 수인을 맺는 방법과 그 공덕에 대해 설하고 있다. 이역본으로 『불설천수천안관세음보살광대원만무애대비심다라니경(佛說千手千眼觀世音菩薩廣大圓滿無礙大悲心陀羅尼經)』, 『천안천비관세음보살다라니신주경(千眼千臂觀世音菩薩陀羅尼神呪經)』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