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천인오쇠

본문

한자1
[天人五衰]
한자2
뜻(설명)
천계의 중생이 복락이 다하여 죽을 때가 되면 나타나는 5가지 쇠해지는 모습으로 경론마다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다. 1) 『증일아함경(增一阿含經)』24: (1) 화관(花冠)이 저절로 시든다. (2) 옷에 때가 묻는다. (3) 겨드랑이에 땀이 난다. (4) 모든 자리가 즐겁지 않다. (5) 왕녀가 배반한다. 2) 『열반경(涅槃經)』 19: (1) 옷에 때가 묻는다. (2) 머리의 꽃이 시든다. (3) 몸에서 나쁜 냄새가 난다. (4) 겨드랑이에 땀이 난다. (5) 모든 자리가 즐겁지 않다. 3) 『구사론(俱舍論)』 10: 5종의 소쇠상(小衰相)과 대쇠상(大衰相)이 나타난다. 소쇠상은 (1) 옷과 장엄구(莊嚴具)들이 언짢은 소리를 낸다. (2) 몸에서 내던 광명이 흐려진다. (3) 목욕하는데 물방울이 몸에 묻는다. (4) 본 성품이 다니기 좋아하던 것이 한곳에 머물게 된다. (5) 눈이 가만히 있던 것이 자주 깜박거려진다. 대쇠상은 (1) 옷이 티끌에 더러워진다. (2) 꽃다발이 시든다. (3) 양 겨드랑이에 땀이 난다. (4) 나쁜 냄새가 몸에서 난다. (5) 모든 자리가 즐겁지 않게 된다. 『구사론』에서는 대쇠상이 나타나면 죽는다고 한다. 이와 같은 5종의 쇠하는 모양이 나타나면 반드시 죽는 것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