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천축

본문

한자1
[天竺]
한자2
뜻(설명)
고대 중국에서 인도 또는 인도 방면을 일컫는 말로서 3세기 이후부터 많이 사용되었다. 이전에는 신독(身毒), 현두(賢豆), 천독(天篤)이라고도 했으며 당나라 이후 인도(印度)라고 불린다. 기원전 20세기경 아리아족이 중앙아시아에서 남하하여 파미르고원을 넘어 현재의 인더스 평원에 들어서자 푸르게 초목이 우거진 평원과 강물을 보고 감탄하는 소리인 ‘신두(Sindhu: 물 또는 큰 바다라는 의미)’라는 말이 이강과 지방의 이름이 되고 이를 중국에서 신두(辛頭), 연독(身毒), 현두(賢頭), 천두(天豆) 등으로 음역했는데, 이것이 점차 변하여 천축으로 되었다고 한다. 천축이라는 이름은 한나라 때부터 사용했는데, 인도라는 이름도 연독 등에서 와전된 것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