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축삼시
본문
한자1
[天竺三時]
한자2
ⓢ
ⓟ
ⓣ
뜻(설명)
인도에서 1년을 3가지로 구분한 것으로서 천축삼제(天竺三際)라고도 한다. 인도에서 1년의 기후에 따라 1월 16일부터 5월 15일까지를 열시(熱時), 5월 16일부터 9월 15일까지를 우시(雨時), 9월 16일부터 1월 15일까지를 한시(寒時)의 3기로 나눈 것이다. 이 3기를 세분화하여 1월 16일부터 3월 15일까지를 점열시(漸熱時), 3월 16일부터 5월 15일까지를 성열시(盛熱時), 5월 16일부터 7월 15일까지를 우시(雨時), 7월 16일부터 9월 15일까지를 무시(茂時), 9월 16일부터 11월 15일까지를 점한시(漸寒時), 11월 16일부터 1월 15일까지를 성한시(盛寒時)의 6시(時)로 나눈다. 이는 제달라월(制怛羅月, ⓢ Caitra), 폐사카월(吠舍佉月, Vaiśākha), 서슬타월(逝瑟吒月, Jyaiṣṭha), 알사다월(頞沙茶月, Āṣāha), 실라벌나월(室羅伐拏月, Śrāvaa), 바달라발타월(婆達羅鉢陀月, Bhādrapada), 알습박유사월(頞濕縛庾闍月, Aśvayuja), 가랄저가월(迦剌底迦月, Kārttika), 말가시라월(末伽始羅月, Mārgaśirṣa), 보사월(報沙月, Pauṣa), 마가월(磨伽月, Māgha), 파륵구나월(頗勒寠拏月, Phālguna)의 12월에 배대되며, 춘하추동의 4시로 나누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