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천태말학운묵화상경책

본문

한자1
[天台末學雲黙和尙警策]
한자2
뜻(설명)
(목판본. 1권.) 고려 후기승려 부암운묵(浮庵雲默, 생몰년 미상)의저술로 1330년(충숙왕 17) 간행되었다. 발행지는 미상이다. 민영규 소장의 『석가여래행적송(釋迦如來行蹟頌)』 권말에 부재되어 있다. 1643년(인조 21) 수청산(水淸山) 용복사(龍腹寺)에서 개판된 것이 동국대학교에 소장되어 있다. 본문은 모두 다섯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앞의 네 부분은 저자인 운묵이 지은 『석가여래행적송』에서 발췌한 내용이 주를 이루고, 마지막 부분은 저자가경책문을 쓰면서 추가한 내용으로 보인다. 첫 번째 부분은 출가자들이 시주자들로부터 음식·의복·와구·의약의 사사(四事) 공양을 받는데, 이를 제대로 받기 위해서는 계행과 위의를 갖추고 좌선과 염불을 부지런히 행해야 함을 경책한 것이다. 두 번째 부분은 출가 수행자 가운데 하근기들의 행태가 실로 부끄러워할 만하다는 점을 구체적인 예를 통해 제시하고 있으며, 이런 행태들이 선악의 업보를 몰라서라기보다도 이익을 추구하려는 마음이 더욱 강해서 생긴 점임을 통렬히 지적하고 있다. 세 번째 부분은 시주들의 빚을 갚고 은혜에 보답하는 길을 가벼운 것, 중간 것, 무거운 것의 세 등급으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즉 시주들의 빚을 제대로 갚지 못하면 그것의 경중(輕重)에 따라 다음 생에 시주 집안의 노비나 종복이 되어 일을 하거나, 소나 말이 되어 고생스러운 일을 하거나, 돼지나 양 등이 되어 자신을 먹잇감으로 제공하게 된다고 경책한 것이다. 네 번째 부분은 국왕·스승·부모·시주의 은혜, 곧 4은(四恩)에 대해 설명하는 부분으로서, 예배할 때 늘 이 네 가지 은혜에 회향하는 마음을 가져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다섯 번째 부분은 앞에서 말한 회향하는 마음을 잘 지켜 3처(三處)에 회향할 수 있으면, 출가할 때 했던 서원, 즉 ‘은혜를 갚고 중생을 구제하겠다’라는 말을 등지지 않을 수 있음을 설하고 있다. 삼처회향이란 『석가여래행적송』에 따르면, 중생(衆生) 회향, 불과(佛果) 회향, 실제(實際) 회향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