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철선소초

본문

한자1
[鐵船小艸]
한자2
뜻(설명)
(필사본. 1권 1책.) 조선 후기 승려 철선혜집(鐵船惠楫, 1791~1858)의 시집으로 발행 사항은 미상이다. 간본은 없고 필사본이 부산 금정산(金井山) 미륵사(彌勒寺)에 있으며, 『한국불교전서』 제10책에 수록되어 있다. 복사본이 동국대학교에 소장되어 있다. 권두에 1875년(고종 12)에 쓴 신헌구(申獻求)의 서문이 있고, 74수의 시가 정리되지 않은 채 시체의 구별 없이 수록되어 있다. 5언과 7언의 절구와 율시, 5언고시 1수가 들어 있는데, 7언율시가 가장 많다. 이들 시는 저자의 시 중에서 일부분에 불과한 것이겠지만, 맑고 깨끗한 불가 시의 면모를 보여준다. 시집에는 산거시(山居詩)가 많은데, 그중에도 <근차석옥화상한거운(謹次石屋和尙閒居韻)>은 원나라 석옥청공(石屋淸珙)의 <산거시>를 차운한 것으로 다산(茶山)과 초의(草衣)의 <산거잡영>과 맥을 같이한다. 또한 다산의 제자 황상(黃裳)과의 긴밀한 교유 관계가 5언고시 <술회차정황치원일속산방(述懷次呈黃巵園一粟山房)>외 2편을 통해 나타나 있다. 저자는 조선 후기 대흥사를 중심으로 융성하게 일어났던 문화에 참여한 시승으로서, 이 시집으로 당시의 문화적 상황을 고찰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