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철성니리경

본문

한자1
[鐵城泥犁經]
한자2
뜻(설명)
1권. K684, T42. 동진(東晋)시대에 축담무란(竺曇無蘭)이 381년에서 395년 사이에 양도(楊都)의 사진서사(謝鎭西寺)에서 번역하였다. 고려대장경에서는 경전명 앞에 ‘불설(佛說)’이 추가로 명기되어 있다. 부처님이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머물 때, 죄를 지은 사람이 죽은 뒤에 가는 니리(泥犁: 지옥)의 종류와 그곳에서 겪는 고통의 과정을 설한 경전이다. 사람이 몸과 입과 마음으로 악을 행하고 살생 등을 행하면 죽은 뒤에 니리에 가고, 몸과 입과 마음으로 선을 행하면 죽어서 하늘로 올라가는 것을 부처님은 천안(天眼)으로 모두 보신다. 그리하여 악업을 지은 자는 죽은 뒤에 니리에 들어가 옥졸의 안내로 염라왕(閻羅王)을 만나는데, 염라왕은 그에게 세상에서 행한 죄를 다섯 번 묻고 그 모든 죄가 스스로 지은 것이므로 스스로 과보를 받아야 한다고 말한다. 염라왕의 질책이 끝나면 옥졸이 그를 철성(鐵城)으로 끌고 가서 첫 번째로 펄펄 끓는 가마솥에 집어넣고 수천만 년이 지나 다시 사람이 발을 땅에 대면발이 타들어 가는 구연니리, 벌레가 사람의 뼈와 살을 쪼아먹는 미리마득니리, 칼처럼 날카로운 돌로 이루어진 산인 추라다니리 등 온갖 지옥을 지나게 된다. 하지만 죄인들은 평생에 지은 죄업 때문에 죽고 싶어도 죽지 못하고 살고자 해도 살지 못하며 벗어나려 해도 벗어나지 못하고 다시 온 길을 따라 염라왕 앞에 이른다. 마지막으로 염라왕은 그들에게 다시 사람으로 태어나 부모에게 효도하고 어른을 공경하며 사문과 도인을 만나서 그 도(道)를 받들고 섬기어 아라한이 되면 모든 니리의 길이 닫힘을 알려준다. 또한 부처님은 이 경의 마지막 부분에서 니리에 들어가는 자들 중에 왕과 사문과 도인이라야 염라왕을 만날 수 있고, 그렇지 않은 범부들은 사람들을 따라 휩쓸려 들어간다고 설한다. 이역본으로 『불설염라왕오천사자경(佛說閻羅王五天使者經)』, 『중아함경』 제64 『천사경(天使經)』, 『증일아함경』 제32 「선취품(善聚品)」의 제4경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