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청련암

본문

한자1
[靑蓮庵]
한자2
뜻(설명)
1) 경기도 시흥시 북면 관악산에 있는 사찰이다. 2) 경기도 안성군 이죽면 칠현산에 있는 사찰로서 칠장사의 부속 암자이다. 3) 경기도 수원시 광교산에 있는 사찰이다. 4) 충청북도 단양군 대강면 도락산에 있는 사찰이다. 5) 충청북도 보은군 내속리면 속리산에 있던 사찰로서 법주사의 부속 암자였다. 6) 충청남도 공주군 사곡면 태화산에 있는 사찰로서 마곡사의 부속 암자이다. 7) 전라북도 부안군 산내면 변산에 있는 사찰로서 내소사의 부속 암자이다. 8) 전라북도 김제시 수류면 무악산에 있는 사찰로서 금산사의 부속 암자이다. 처음 이름은 청사굴이었는데, 임진왜란 이후에 개칭하였다. 9)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도솔산에 있는 사찰로서 선운사의 부속 암자이다. 10)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조계산에 있는 사찰로서 선암사의 부속 암자이다. 11) 전라남도 화순군 춘양면 천불산에 있는 사찰로서 개천사의 부속 암자이다. 12) 부산광역시 동래구 청룡동 금정산에 있는 사찰로서 범어사의 부속 암자이다. 13) 경상남도 창녕군 계성면 영취산에 있는 사찰로서 조선시대인 1628년(인조 6) 창건되었다. 1676년(숙종 2)에 중창되고, 1842년(헌종 8) 덕암이 중창하였다. 14) 경상남도 고성군 개천면 연화산에 있는 사찰로서 옥천사의 부속 암자이다. 1895년(고종 32) 호월이 중창하였다. 15) 경상북도 달성군 가창면 최정산 남쪽에 있는 사찰로서 지장사의 부속 암자이다. 1679년(숙종 5) 승민이 창건하여 1614년 지월이 중창하고 1920년 보명이 중창하였다. 16) 경상북도 영덕군 달산면 대둔산에 있는 사찰이다. 17)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송라면 내연산에 있는 사찰로서 보경사의 부속 암자이다. 18) 강원도 회양군 금강산에 있던 사찰이다. 19) 강원도 삼척시 북삼면 두타산에 있던 사찰이다. 20) 강원도 고성군 거진읍 금강산에 있던 사찰로서 건봉사의 부속 암자였다. 고려시대인 945년(혜종 2) 창건되어 조선시대인 1606년(선조 39) 신묵이 중수하고, 1878년(고종 15) 서암이 중건하였으나 1888년 화재로 폐사되었다. 21) 강원도 금강군 내금강면 금강산에 있는 사찰로서 표훈사의 부속 암자이다. 22)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 태백산에 있는 사찰로서 신흥사의 부속 암자이다. 23) 강원도 삼척시 북산면에 있던 사찰로서 신라 흥덕왕 때 창건되었다. 높이 3척 5촌의 철불좌상이 있다. 24) 함경남도 북청군 덕성면 대덕산에 있는 사찰이다. 25) 황해남도 개풍군 천마산에 있던 사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