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청허당집

본문

한자1
[淸虛堂集]
한자2
뜻(설명)
(목판본. 7권 1책. 30×19.5cm) 조선의 고승 청허휴정(淸虛休靜, 1520~1604)의 시문집으로 1630년(인조 8) 경기도 삭녕 수청산 용복사(龍腹寺)에서 간행되었다. 서울대학교 소장본은 1~3권이고, 동국대학교 소장본은 4~7권이다. 5~7권은 국립중앙도서관에도 있다. 서두에는 선조의<묵죽시(墨竹詩)> 1편과 정조가 하사한 「화상당명(畵像堂銘)」 및 그 「서(序)」, 「수충사사제문(酬忠詞賜祭文)」이 수록되어 있고, 마지막에 행장(行狀)이 부록으로 실려 있다. 권1에는 사(辭) 7수, 4언시 3수, 5언고시 3수, 7언고시 8수, 5언율시 24수, 7언율시 23수, 오언배율 1수 등 다양한 형식의 시문이 실려 있다. 전체적으로 휴정의 시는 미망에 사로잡힌 사람들을 오해(悟解)의 길로 견인해주고자 하는 의지를 담고 있다. 권2에는 휴정 시 가운데 가장 많은 분량을 차지하는 5언절구 317수가 실려 있다. 권3에는 6언절구 2수, 7언절구 135수가 수록되어 있는데, 주제나 제재에서 5언절구의 경우와 큰 차이가 없다. 권4에는 게(偈) 1편과 잡저 11편이 수록되어 있다. 도반이나 제자를 상대로 한 안부, 권고, 전법을 내용으로 하는 글들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 권5에는 기(記) 8편, 명(銘) 1편, 발(跋) 1편이, 권6에는 양식의 구별 없이 26수의 시(詩)서(序)소(疏)기(記)모연문(募緣文) 등이 수록되어 있다. 권7에는 60편에 이르는 서간문이 실려 있는데, 「상완산노부윤서(上完山盧府尹書)」는 자서전적 글로 주목되며, 기타 서간문들도 청허의 행적과 사상, 당대 승단의 정황 등을 파악하는 데 주요한 자료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