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지사
본문
한자1
[摠持寺]
한자2
ⓢ
ⓟ
ⓣ
뜻(설명)
1) 전라남도 무안군 몽탄면 숭달산에 있던 사찰로, 신라시대 창건되었다가 1016년(현종 7) 화재로 소실되어 숭달산으로 이건하였다고 한다. 1810년(순조10)을 전후로 폐사되었다고 한다. 총지사(摠指寺)라고도 한다. 2) 황해북도 개성시 장풍군 영남면 성거산에 있던 사찰로 통일신라 시기에 창건된 것으로 추측된다. 1101년(숙종 6)에 숙종이 직접 이곳을 방문하여 대각국사(大覺國師)를 문병했다고 전한다. 1157년에는 의종이 방문하였으며, 1186년(명종 16)에는 『인왕경(仁王經)』을 강론하는 국가적인 기도도량이었다. 1926년 영운이 중창했다. 3) 황해북도 개성시 서북쪽에 있던 사찰이다. 4) 일본 카나가와현(神奈川県) 요코하마시(横浜市) 쯔루미구(鶴見區)에 있는 조동종의 대본산으로 729년 교기(行基)가 창건한 사찰이다. 원래 노토(能登; 能登國鳳至郡櫛比村)에 있던 것을 1907년 현재의 위치로 이건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