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생무량문지경
본문
한자1
[出生無量門持經]
한자2
ⓢ
Anantamukhasādhakadhāraṇī-sūtra
ⓟ
ⓣ
뜻(설명)
1권. K325, T1012. 동진(東晋)시대에 불타발타라(佛陀跋陀羅, Buddhabhadra)가 419년에 양도(楊都)에서 번역하였다. 고려대장경에는 경전명 앞에 ‘불설(佛說)’이 추가로 명기되어 있다. 별칭으로 『성도항마득일체지경(成道降魔得一切智經)』, 『무량문지경(無量門持經)』, 『신미밀지경(新微密持經)』이라고도 한다. 이역본으로 『무량문파마다라니경(無量門破魔陀羅尼經)』, 『무량문미밀지경(無量門微密持經)』, 『아난다목가니하리타린니경(阿難陀目佉尼呵離陀隣尼經)』, 『일향출생보살경(一向出生菩薩經)』, 『사리불다라니경(舍利弗陀羅尼經)』, 『아난다목가니하리타경(阿難陀目佉尼呵離陀經)』, 『출생무변문다라니경(出生無邊門陀羅尼經)』(K331), 『출생무변문다라니경』(K1279)이 있다. ⇨ 출생무변문다라니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