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충담

본문

한자1
[忠談]
한자2
뜻(설명)
신라 경덕왕 때의 승려로 향가 작가이기도 하다. <찬기파랑가(讃耆婆郞歌)>와 경덕왕을 위하여 지은 <안민가(安民歌)>가 유명하다. 765년(경덕왕 24) 3월3일 경덕왕이 귀정문루(歸正門樓)에 앉아 신하들에게 “누가 길에서 영복승(榮服僧)을 데려오겠느냐?”라고 하자, 마침 어느 승려가 옷을 잘 차려입고 점잖게 지나가기에 왕에게 보였더니 왕이 “이 사람은 내가 말하는 영복승이 아니다.”라고 하였다. 또 다른 승려가 누더기를 입고 앵통(櫻筒)을 메고 남쪽에서 와서 왕이 기쁘게 누상으로 청하여 보니 벚나무 통에는 다구(茶具)만 있었다. 왕이 “스님은 누구십니까?”라고 하자 “충담입니다.” “어디 갔다 오십니까?” “산승이 중삼일(重三日: 3월 3일), 중구일(重九日: 9월 9일)마다 남산 삼화령(三花嶺)의 미륵세존(彌勒世尊)께 차공양을 올렸는데 이번에도 차공양을 하고 옵니다.”라고 했다. 왕이 “저도 한잔 얻어먹을 수 있겠습니까?”라고 하자 충담이 차를 만들어 드렸는데, 맛이 훌륭했다. 왕이 “제가 스님이 지은 <찬기파랑가>의 뜻이 매우 깊다고 들었는데 과연 그러합니까?”라고 하자 “그러합니다.” 하였다. 다시 “저를 위해 안민가를 지어줄 수 없겠습니까?”라고 청하자 충담이 그 자리에서 지어드렸다. 왕이 보고 찬탄하여 왕사로 봉하려고 했으나 굳이 사양하였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