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침굉집

본문

한자1
[枕肱集]
한자2
뜻(설명)
조선 중기 승려 침굉현변(枕肱懸辯, 1616~1684)의 시문집으로 1695년(숙종 21) 전남 순천 조계산 선암사(仙巖寺)에서 간행하였다. 동국대학교와 서울대학교 소장본의 2종이 전한다. 서울대학교 소장본에는 「가(歌)」 4편이 없는 대신, 상권의 말미에 침굉의 친필시(親筆詩) 8편 9수가 수록되어 있고, 작품의 배열 순서에도 차이가 있다. 권두에는 박사형(朴士亨)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는 저자의 행장과 청허대사(淸虛大師)의 시 <등비로봉(登毘盧峰)>과 <환향(還鄕)>이 실려 있다. 상권에는 국한문 혼용체로 된 <귀산곡(歸山曲)>·<태평곡(太平曲)>·<청학동가(靑鶴洞歌)>·<왕생가(往生歌)>의 불교가사 4편과 112편 117수의 한시가 수록되어있다. 시는 5언절구 28편, 7언절구 45편49수, 5언율시 8편, 7언율시 31편 32수이다. 하권은 서간문권선문(勸善文) 등의 문(文) 25편과 <선암사고법당중창유선시(仙巖寺古法堂重創諭善詩)> 2편, <상당급육색장축원(上堂及六色掌祝願)>의 게송 3편 등으로 구성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