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어
본문
한자1
[巴里語]
한자2
ⓢ
ⓟ
pālibhāsā
ⓣ
뜻(설명)
스리랑카미얀마 등의 남방 불교 경전에 쓰인 언어이다. 범어의 근원인 프라크리트어 계통에 속한다. 그 유래에 대한 견해는 처음으로 불교를 세일론에 전한 마혜타왕자의 고향인 웃자인(Ujjain) 지방의 토속어에서 온 것이라는 주장도 있고, 혹은 옛 마갈타어(摩竭陀語)에서 나온 것이라고 하는 주장도 있어 일정하지 않다. 자모(字母)의 총수는 39로, 모음(母音)이 8자이고 자음(子音)이 31자로 구성되어 있다. 범어에 비하면 수량이 매우 적고, 음조(音調)의 변화도 적으며, 상대적으로 문법이 간단하고 쉬우므로 흔히 민간에서 많이 쓰였다고 한다. 파리(pāli)는 본래 선(線), 규범(規範)의 뜻에서 성전(聖典)의 뜻으로 변하였고, 다시 이것이 언어의 명칭으로 된 것은 근대에 이루어진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