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동 쌍계사대웅전
본문
한자1
[河東雙磎寺大雄殿]
한자2
ⓢ
ⓟ
ⓣ
뜻(설명)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쌍계사길 59에 위치하며 보물로 지정되었다. 쌍계사는 통일신라 722년(성덕왕 21) 대비화상(大悲和尙)과 삼법화상(三法和尙)이 세워 옥천사라 불렀다고 하며 정강왕(재위 886∼887)이 두 개의 계곡이 만나는 절 주변의 지형을 보고 쌍계사로 고쳤다고 한다. 임진왜란 때 절이 불에 탔던 것을 벽암대사(碧巖大師)가 1632년(인조 10) 중수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는데, 절의 중심 법당으로 석가모니불상을 모신 대웅전은 이때 지은 건물로 짐작한다. 규모는 앞면 5칸옆면 3칸이고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 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짜인 구조가 기둥 위뿐만 아니라 기둥 사이에도 있으며 밖으로 뻗쳐 나온 재료들의 형태가 비교적 우아한 곡선과 오래된 양식을 보인다. 가운데 3칸에는 4짝의 여닫이문과 기둥 사이에 공포가 2개씩 놓여 있으며, 양쪽 끝 칸은 2짝씩 문을 달아 공포가 1개씩 있다. 건물 천장은 우물 정(井) 자 모양으로 천장 안쪽을 가린 우물천장으로 꾸몄고, 불단 위로 지붕 모형의 닫집을 화려하게 만들어 놓았다. 전체적으로 기둥이 높아 건물의 규모가 크게 느껴지는데 조선시대 불교 목조 건축의 형태를 잘 보존하고 있어 중요한 연구 자료가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