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하동 쌍계사동종

본문

한자1
[河東雙磎寺銅鍾]
한자2
뜻(설명)
경상남도 하동군화개면 쌍계사길 59에 위치하며 보물로 지정되었다. 현재 쌍계사 성보박물관에 전시된이 작품은 전체 높이가 94cm이고, 입지름이 62cm로 조선 후기에 제작된 동종 가운데 그 규모가 대형에 속하는 것이다. 전체적으로 검은빛이 감도는 쌍계사 동종은 둥글고높게 솟은 천판 위에 단룡과 음통을 갖춘 종루가 있으며, 천판 아래로 승형의 입상화문대(立狀花文帶)를 촘촘하게 표현하였다. 동종의 종형을 살펴보면, 외선이 천판(天板) 아래에서 종신 중단까지는 완만하게 곡선을 그리며 내려오지만, 종신 하단으로 내려갈수록직선에 가깝게 처리하고 있어 시각적으로 종구가 좁아진 형태이다. 종신은 다양한 도안이 고부조로 장식되었는데, 천판 아래에는 2줄의 연주문 사이로 연판문과 당초문을 빽빽하게 부조하였으며, 그 아래에는 4개의 연곽과 원권(圓圈)의 범자(梵字)를 교대로 장식하였다. 연곽(蓮廓)의 전체 형태는 사다리꼴이며 연화당초문의 연곽대를 구획하여 그 내부로 만개된 9개의 연뢰를 표현하였고, 원권의 범자는 2단으로 상단에‘육자대명왕진언(六字大明王眞言)’이, 하단에 ‘파지옥진언(破地獄眞言)’이라는글자가 둘러 써져 있다. 그리고 연곽 사이에 있는 비어 있는공간은 4구의 보살 입상과 4개의 위패가 장식되어 있는데, 보살 입상은 두 손에 연꽃을 쥐고 구름을 타고 내려오는 모습이며, 위패에는 왕실의 안녕과 불법의 전파를기원하는 ‘종비반석왕도미륭혜일장명법주사계(宗啚磐石王道彌隆惠日長明法周沙界)’라는 문구가 기재되어 있다. 마지막 하단에는 연화당초문을 사용하여 한 줄의 띠 장식을 둘렀다. 쌍계사동종은 종신 중간에 양각으로 제작 연대와 봉안 사찰을 기록하였는데 그 내용을 통해동종은 ‘신사년(辛巳年)’에 현재의 쌍계사 대종으로 제작하였음을 알 수 있다. 제작연대를 간지인 ‘신사(辛巳)’로만 간략하게 기록하였는데, 1857년에 작성된 『영남하동쌍계사사적기문(嶺南河東雙磎寺事蹟記文)』 현판에 따르면 임진왜란으로 폐허가 된 사찰을 숭정 연간(1628~1644) 유명한 선승인 벽암당 각성(碧巖堂覺性, 1575~1660)과 소요당 태능(逍遙堂太能, 1562~1649)이 중창하였다고 기록하고 있다. 따라서 동종은 중창이진행되었던 기간에서 간지가 정확하게 일치하는 1641년(인조 19)에 제작되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제작 장인을 기재하지 않았지만, 숭정 연간 쌍계사 중창불사에 동원된 승장이 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 범종은 임진과 병자의 양난을 겪고 난 후 새로운 조선 후기 범종의 양식적 특징을 잘 보여주는 매우 귀중한자료로 보존 상태가 양호하면서도 그 크기가 큰 편에 속한다. 특히 단정한 주조 기술과 문양이 돋보이면서도 조선 후기 전통형 범종을 고수하고 있는 1641년이라는 비교적 이른 시기의 작품인 점과 17세기 승려 장인 사회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