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산사
본문
한자1
[寒山寺]
한자2
ⓢ
ⓟ
ⓣ
뜻(설명)
1) 충청북도 제천시 남천동에 있는 사찰. 창건 시기는 미상이나 제천시 사찰 대장에 “고려시대 1194년(명종 24)에 조혜사(照慧寺)는 소실되고 1943년 3월 13일에 재건하였다.”라는 기록을 통해 원래 조혜사로 창건되었다가 근대에 사명을 바꾼 것으로 추정한다. 고려 말기의 불상 양식으로 보이는 제천한산사석조여래입상(提川寒山寺石造如來立像)이 있다. 2) 충청남도 보령시 천북면 학성리에 있던 사찰이다. 3) 전라남도 여수시 봉산동에 있는 고려시대 사찰이다. 1195년(명종 24) 보조국사 지눌이 구봉산 중턱에 창건하였으며 옛 이름은 보광전(普光殿)이다. 4) 전라남도 화순군 동복면 신율리에 있던 사찰이다.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63호로 지정된 6m 높이의 3층석탑 1기와 1200년경 세워진 것으로 추정되는 부도탑 1기만 남아 있다. 5) 경상북도 상주시 식산 중턱에 있는 사찰이다. 동해사의 옛 이름이다. 고려 말에서 조선 초에 활동했던 무학대사가 창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설에 의하면 무학대사가 풍수지리설에 근거해 상주를 떠나가는 배의 형상으로 보고 높은 곳에 사찰을 지은 후, 사찰 자체가 돛대 역할을 하여 동해로 뻗어나가 발전하라는 의미에서 창건했다고 한다. 조선 후기에 몇 차례 중건하였으며 현재는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동해사 석조여래입상이 있다. 6)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에 있는 사찰. 창건과 관련해서는 544년 창건된 화엄사와 창건 연대가 비슷하다는 이야기만 전해진다. 당시 화엄사 스님 한 분이 중국에 지명이 같은 하동에 한산사를 지었는데 빈대가 많아 지금의 자리로 옮겼다고 한다. 중국의 한산사가 위치한 곳은 시인 장계(張繼)가 <풍교야박(楓橋夜泊)>이란 시를 읊으며 그 절경을 소개한 곳인데, 이곳 한산사 역시 중국의 한산사를 빼어 닮았을 뿐만 아니라, 지역의 모습도 닮았다고 전해진다. 7)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에 있던 사찰로 현재는 흥전리 사지로 알려져 있다. 『삼척군지』『척주지(陟州誌)』『진주지(晉州誌)』 등을 통해 한산사라는 사찰이 있었다는 것과 고려조선시대에 존재했다는 사실만 확인할 수 있다. 8) 평안북도 의주군 동쪽 80리에 있던 사찰이다. 9) 황해남도 신천군 용진면 패엽리 구월산에 있는 사찰이다. 패엽사의 다른 이름. 하은(荷隱)이 중수하고, 한산사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