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수경
본문
한자1
[恒水經]
한자2
ⓢ
ⓟ
ⓣ
뜻(설명)
1권. K675, T33. 고려대장경에는 경전명앞에 ‘불설(佛說)’이 추가로 명기되어 있다. 서진(西晋)시대에 승려 법거(法炬)가 290년에서307년 사이에 번역하였다. 별칭으로 『항수유경(恒水喩經)』이라고도 한다. 부처님께서 대중들과 함께 항수(恒水) 가에 머무셨는데, 그날은 15일 계(戒)를 설하는 날이었으므로 아난이 계경(戒經)을 설해 주시기를 청하였다. 그러나 부처님께서는 응하지 않으시다가 새벽이 되어서야 사람의 몸을 얻기가 어렵고, 사람의 몸을 얻었어도 부처의 경계(經戒)를 듣기는 더욱 어려우며, 경계를 들었어도 도(道)를 믿고 들어가기는 더욱 어렵고, 도에 들어갔어도 경계를 지켜서 가지기는 더욱어렵다고 설하신다. 그리고 대중 가운데 부처님의 경계를 갖지못한 자가 있으므로 계경을 설하지 않겠다고 말씀하신다. 이에 목건련이 삼매에 들어그 사람을 찾아내어 대중 밖으로 쫓아내자, 그때서야 비로소 부처님께서 계율을 지키는 이의 공덕과 4종류의 사람에 대해 설법하신다. 오계(五戒)를 지키는 이는 사람의 몸으로 태어나고 그중 십선업(十善業)을 갖춘 이는 하늘에 나며 250계(戒)를 지키는 자는 아라한 등의 큰 도를 얻으며, 바다에 일곱 가지 보배가 있듯이 불도에도 칠보(七寶)가 있으니 수다원(須陀洹)사다함(斯多含)아나함(阿那含)아라한(阿羅漢)벽지불(辟支佛)보살(菩薩)불니원(佛泥洹)의 일곱이다. 도(道)라고 하는 보배를 얻으려 한다면 음욕과 성냄 등을 버리고 계를 지키며 정진하여 공덕을 쌓아야 한다고 강조하신다. 그리고 온갖 강물이 바다로 흘러 들어가면 본래의 강 이름은 없어지고 오직 바다라는 한 가지 이름으로 불리듯이, 인간 세상에는 4가지 계급이 있어 각기 얻는 것이다르나 불제자가 되면 그 사람이 출가전에 종족, 계층, 빈부 여하와 관계없이 오직 불제자로만 불리고 서로 보호하고법을 이어갈 뿐이다. 또한 아무리 많은 물이 바다로 흘러가더라도 바다의 물은 불어나거나 줄지 않는 것처럼 부처님의 도(道)도 불제자들이 각기 달리 얻더라도 불어나거나 줄어들지 않는다고 설한다. 이 경에는 대승경전에서 사용하는단어나 대승의 사상 등이 많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경전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된다. 이역본으로 『중아함경』의 제122 『첨파경(膽波經)』『첨파비구경(瞻婆比丘經)』『해팔덕경(海八德經)』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