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해동불보

본문

한자1
[海東佛報]
한자2
뜻(설명)
1913년 11월 20일 창간. 《해동불보》는 1913년 11월 20일 창간되어 1914년 6월호인 통권 8호까지 간행되었다. 《조선불교월보(朝鮮佛敎月報)》는 1913년 8월호인 19호를 내고, 2개월 동안 간행되지 못하였다. 그러나 조선불교월보사의 ‘소분(小分, 내부 갈등)’으로 인하여 《조선불교월보》의 명칭을 변경해서 계속 발행하고 사명(社名)도 개정한다는 사정 아래에서 나온 것이 《해동불보》이다. 말하자면 《해동불보》는 《조선불교월보》의 후신이라고 할 수 있으며, 발행의 주체와 잡지의 성격은 《조선불교월보》와 거의 같다. 즉, 발행처는 조선선교양종각본산주지회의원(소)(朝鮮禪敎兩宗各本山住持會議院(所))였으며, 잡지의 성향으로는 진화론의 일정한 수용 및 그 영향과 일제의 사찰 정책을 수용하고 있는 당시 불교계의 의식 등이라고 지적할 수 있다. 이 잡지 역시 당시 불교계의 제반 동향과 현실 인식 등을 살필 수 있는 기본 자료이다. 《해동불보》의 규약(規約)에 불교의 종지(宗旨)를 천화(闡化)한다든가, 순수 학리 및 덕성을 공구(攻究)계도(啓導)하며, 정치 및 시사 득실은 절대 인정하지 않겠다는 표현이 있는 것을 보면 불교 사상의 중흥을 목적으로 간행한 것으로 이해된다. 그리고 잡지명을 ‘해동불보’라고 칭한 것에서도 알 수 있듯, 해동(海東), 즉 한국에 불교를 중흥발전시켜야 하겠다는 의식이 개재된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