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해인삼매론

본문

한자1
[海印三昧論]
한자2
뜻(설명)
신라시대 승려 명효(明皛, 생몰년 미상)의 저술이다. 『속장경』 수록본은 1113년에 서사(書寫)하고, 1722년에 교토 고잔지(高山寺)에 소장하고 있는 본과 대교한 자료이다. 두 페이지의 단문이며, 『속장경』 이외에 『신수대장경』과 『신찬속장경』에도 실려 있다. 이 책은 『화엄경』의 요지를 7언 28구 196자의 송(頌)으로 작성하여 도인(圖印)을 만들고 그것을 해설하는 글로 구성되어 있다. 명효(明皛)는 이 ‘해인삼매도’를 통해 중중무진(重重無盡)한 화엄법계를 명료하게 드러낸다. 명효의 「해인삼매론」은 의상(義湘)의 「일승법계도(一乘法界圖)」와 형식과 내용 면에서 유사한 부분이 많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상당한 차이가 있다. 먼저 「일승법계도」 도인(圖印)의 읽는 방향은 중앙에서 시작하여 오른쪽으로 돌아 출발점에서 끝나지만, 「해인삼매론」 도인은 이와 반대로 왼쪽으로 돌아 다시 출발점으로 회귀한다. 또 「일승법계도」의 송(頌)은 법성(法性)에서 시작하여 불(佛)로 끝나지만, 「해인삼매론」의 송은 생사(生死)에서 시작하여 열반으로 끝난다. 이것은 법성게(法性偈)가 불(佛)의 내증(內證)과 외화(外化)에 통하는 성기설(性起說)인 것에 비해, 「해인삼매론」의 송은 생사와 열반으로 드러나는 법계연기설(法界緣起說)이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하여 「해인삼매론」에는 밀교적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해인삼매론」의 읽는 방향은 밀교의 금강계만다라가 보여주는 좌우선(左右旋) 향상향하적 실천 방향과 일치하며, 참회 발원은 밀교의 의궤로 이루어진 참법 구조와 매우 유사하다. 「해인삼매론」은 사상사적으로 원효와 의상 이후 신라의 화엄 사상을 계승하고, 7세기 초에 전해진 밀교적 전통을 이어오고 있다는 데서 매우 의미 있는 자료라고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