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해일

본문

한자1
[海日]
한자2
뜻(설명)
(1541~1609) 조선시대 승려. 호는 영허(映虛), 당호는 보응(普應)이며 속성은 김씨로 전라북도 김제 출신이다. 8세에 『대학』 중에 증자(曾子)가 “열 눈으로 보며 열 손가락으로 가리키나니 그 엄할진저.”라고 한 부분을 읽는데 어른이 그 엄(嚴)하다는 뜻을 묻자 “두렵다는 말입니다.”라고 하여 모두 신동이라고 불렀다. 15세에 과거를 보았으나 급제하지 못하였고 19세에 출가하여 능가산(楞伽山) 실상사(實相寺)에 들어가 인언(印彦)대사 문하에서 수학했다. 그 뒤 지리산의 부용(芙蓉)을 참방하여 선교를 탐구하며 3년 동안 시봉하였고, 금강산의 조징(祖澄)을 참견하고 선 공부를 하였으며, 다시 묘향산의 서산대사(西山大師)를 참배하고 8만 법장(法藏)의 의혹을 문답하였다. 상비로암에 10년 머무른 뒤 1589년(선조 22) 능가산의 옛 사찰로 돌아왔다. 실상사에서 『지장경』을 독송하며 정진하던 중 꿈에 지장보살이 감로수(甘露水)를 정수리에 부어주는 상서를 얻었다. 3년 뒤에 은사 인언이 입적하자 장사를 지낸 뒤에 다시 8도의 여러 사찰을 순방하였고, 묘향산에서 한철 안거(安居)하면서 승려와 신도에게 염불을 권하였다. 1605년 다시 실상사에 들어와 대중을 모아놓고 모든 경논을 강의하였다. 광해군 1년, 능가산에서 입적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