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탈도론
본문
한자1
[解脫道論]
한자2
ⓢ
Vimokṣa-māgaŚāstra
ⓟ
ⓣ
뜻(설명)
12권. K968, T1648. 양(梁)나라 때 승가바라(僧伽婆羅, Saṅghabhara)가 515년에 양도(楊都)의 점운관(占雲舘)에서 번역하였다. 12권 10품으로 이루어지며 수행자를 위한 계(戒)정(定)혜(慧)를 상세히 다루었다. 5세기경 붓다고사(Buddhaghosa)가 지은 『청정도론(淸淨道論)』에 큰 영향을 끼쳤다. 두 서적은 남방불교의 근본 교리를 백과사전식으로 수록한 것으로, 스리랑카 불교에서 중요한 문헌으로 손꼽힌다. 『청정도론』이 보수적이고 전통적인 성격이라면, 이 책은 대승불교의 교리를 받아들이는 등 조금 진보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 『청정도론』이 대사파(大寺派)에 속한다면 『해탈도론』은 무외산파(無畏山派)에 속하며, 좌선 수행자를 위해 해탈도를 상세히 해설하고 있는 부파 논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