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본문

한자1
[行]
한자2
saṃskāra
saṅk-hāra
뜻(설명)
1) 조작(造作)의 뜻. 일체 유위법(有爲法)을 말하며, 이때 유위법이란 연을 따라서 모여 일어나고, 만들어진다는 뜻이다. 또는 이것이 항상 변화하여 생멸하는 것이므로 천류(遷流)의 뜻으로 해석. (1) 오온(五蘊)의 하나로 행온(行蘊)을 줄인 이름이다. ⇨행온(行蘊). (2) 십이연기(十二緣起)의 하나. 무명(無明)을 근원으로 하고, 감각(感覺) 등 여러 가지를 발생시키는 신구의의 세 가지 업을 뜻한다. (3) 제행무상(諸行無常)에서의 행은 변화하는 모든 현상을 가리킨다. 2) ⓢ caryā. 동작 또는 행위의 뜻. 몸소 실천해 나가는 행위를 말한다. (1) 명행족(明行足)의 행은 부처님이 지혜와 함께 행의 체험자임을 의미한다. (2) 원행(願行)의 행은 간절히 바라는 이상적인 경지에 이르기 위한 수행이다. (3) 교행(敎行)의 행은 부처님의 가르침에 대한 실행을 의미한다. (4) 심행(心行)은 정토문에서 안심(安心)과 기행(起行)을 말하고, 여기의 행은 안심에서 일어나는 행을 말한다. (5) 육도만행(六度萬行)의 행은 번뇌를 대치(對治)하는 것이다. 번뇌가 많아 행의 수도 많으므로 만행이라 한다. (6) 이 밖에 4안락행(四安樂行)오행(五行)십행(十行)난행(難行)이행(易行)정행(正行)잡행(雜行) 등의 행은 모두 행위 및 수행 등의 의미를 내포한다. 3) ⓟcaṅkramaṇa. 행보래왕(行步來往)의 뜻. 사위의(四威儀)의 하나로서 비구가 걸어가는 거동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