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허백집

본문

한자1
[虛白集]
한자2
뜻(설명)
(목판본. 3권 1책. 30.8×20.2cm) 조선시대 승려 허백명조(虛白明照, 1593~1661)의 시문집으로 1669년(현종 10) 평안북도 향산군 묘향산 보현사(普賢寺)에서 간행되었다. 각 권은 시의 형식에 따라 분류하였다. 권1에는 5언절구 59편과 5언율시 16편, 권2에는 7언절구 117편과 7언율시 33편, 권3에는 산문 8편이 실려 있다. 시는 대체로 산천이나 명승지에 대한 찬탄, 유자와의 교유와 정리(情理), 사물에 대한 감회와 회고 등의 내용이 주를 이룬다. 묘향산금강산 등 그가 유력한 장소나 불가 안팎의 인물들과의 인연 및 교유를 담고 있다. 특히 권2에 보이는 백헌(白軒) 이경석(李景奭)과는 유가와 불가의 묘리를 두고 담론을 주고받았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허백이 교유한 인물 가운데는 유자들이 적지 않은데, 지론대로 유교와 불교는 같은 길을 가야 한다는 입장을 피력하고 있다. 아울러 당대 현실을 전하는 시편도 보인다. <전패후입장안산(戰敗後入長安山)>, <정묘분탕후피초입평양(丁卯焚湯後被招入平壤)> 등의 시는 정묘호란 이후 피폐한 현장에서 느낀 감회나 전사한 장수들을 애도하는 등 전란의 비참함이나 후유증을 고발하고 있다. 산문은 주로 불사 거행과 관련된 것들로 기(記)와 모연문(募緣文)의 비중이 높다. 문학적 가치보다는 당대 사찰의 연혁을 증거하는 쪽에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글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