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현수

본문

한자1
[賢首]
한자2
뜻(설명)
(643~712) 중국 당나라 때 화엄종의 제3조. 법호는 현수대사(賢首大師)국일법사(國一法師), 호는 향상(香象), 법명은 법장(法藏)이며 속성은 강(康)씨이다. 조상은 강거(康居; 사마르칸트) 사람이며, 조부 때 중국 장안에 왔다. 17살 때 화엄종 제2조 지엄(智儼)이 운화사(雲華寺)에서 『화엄경』을 강론하는 것을 듣고 그의 제자가 되었다. 26세에 보살계를 받고, 28세 때인 670년에 칙명으로 태원사(太原寺)에서 출가하여 여러 차례 『화엄경』을 강설하였다. 53세 때 인도의 실차난타(實叉難陀)가 우전국(于闐國)에서 『화엄경』 범본(梵本)을 가지고 와서 번역할 때 그 필수(筆受)를 맡아 5년 만에 마치니, 이것이 80권본 『화엄경』이다. 699년 10월 측천무후의 청으로 불수기사에서 새로 번역된 『화엄경』을 강설하여 현수라는 호를 받고, 이후 무후의 신임이 두터워졌다. 책을 지어 화엄의 교리를 크게 밝히고, 화엄종 교리의 조직적 체계를 이루어 놓았다. 당 선천 1년 11월 장안 대천복사에서 세수 70세로 입적하였다. 저서로는 『화엄경탐현기(華嚴經探玄記)』 20권, 『화엄오교장(華嚴五敎章)』 3권, 『화엄지귀(華嚴旨歸)』『유심법계기(遊心法界記)』『금사자장(金獅子章)』『망진환원관(妄盡還源觀)』, 『기신론의기(起信論義記)』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