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암
본문
한자1
[懸庵]
한자2
ⓢ
ⓟ
ⓣ
뜻(설명)
1) 전라북도 진안군 마이산(고려시대 용출산으로 불렸던 것이 유명한 산)에 있던 사찰이다. 2) 황해남도 재령군 서림리 장수산에 있는 통일신라시대 창건 사찰이다. 또는 현암(縣庵). 장수산 절벽 위에 매달아 놓은 모양으로 지어져 ‘달암절’이라는 별칭으로도 불린다. 사찰의 창건에 관한 기록은 전하지 않으나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시대에 창건한 것으로 추정한다. 1701년(숙종 27)에 작성된 「묘음사사적기(妙音寺事蹟記)」에는 923년(경명왕 7)에 이엄(利嚴)이 이 사찰에 머물렀다는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이 기록을 고려하면 나말여초의 시기에는 이미 현암이 존재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후 여러 차례 중창이 있었다고 하나 자세한 연혁을 알 수 있는 기록은 없다. 일제강점기에는 패엽사(貝葉寺)의 말사였고, 1975년 북한에서 보수공사를 했다고 하며, 현재 북한의 국보 문화유물로 지정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