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본문
한자1
[玄奘]
한자2
ⓢ
ⓟ
ⓣ
뜻(설명)
(602?~664) 중국 당나라 시대의 승려. 법상종. 속성은 진(陳)씨이며 이름은 위(褘), 하남성(河南省) 낙양(洛陽) 동쪽에 있는 구씨현(緱氏縣) 사람. 12세에 낙양 정토사(淨土寺)에서 출가하여, 혜경(慧景)도기(道基)보천(寶遷)법상(法常)승변(僧辨)도심(道深)도악(道岳)엄법사(嚴法師)진법사(震法師) 등에게서 『열반경(涅槃經)』『섭론(攝論)』『발지론(發智論)』『비담론(毘曇論)』『구사론(俱舍論)』『성실론(成實論)』 등을 배웠다. 그러나 경전의 내용이 서로 모순된다고 여겨 서역의 학승들에게 직접 물었고, 그의심을 해결하기 위해 당나라 629년(정관 3년 8월) 29세에 구법의 뜻을 세우고 혼자서 길을 떠났다. 고창(高昌)구자국(龜玆國) 등 실크로드의 여러 국가를 거쳐 총령을 넘어 인도에 들어갔다. 인도 여러 곳의 성적(聖蹟)을 두루 참배하고 고승 대덕을 찾아서 불교와 아울러 학문예술을 연구하였다. 특히 나란타사의 계현(戒賢)에게서 『유가론(瑜伽論)』『인명론(因明論)』『구사론』등을 5년 동안 학습하였다. 인도 유력(遊歷)을 마치고, 우전국 등 여러 나라를 지나서 645년 1월 장안으로 돌아왔다. 17년 동안 두루 돌아다니며 보고 들은나라가 130개국이며 불사리(佛舍利) 150립(粒), 불상(佛像) 8구(軀), 대승과 소승의 경율논 520질 657부(部)를 가지고 와서홍복사에 모셨다. 뒤에 홍복사자은사옥화궁에서 번역에종사하였다. 『대반야경(大般若經)』 등 75부 1,335권의 경전을 번역하였다. 여러 학문예술에 정통하였고, 특히 『유가론』『구사론』『인명론』을 널리 유통시키기 위해힘썼다. 당 인덕 1년 2월, 대자은사에서 세수 63세로 입적하였다. 그의 여행기인 『대당서역기(大唐西域記)』 12권은 역사가들의중요한 자료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