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조
본문
한자1
[玄照]
한자2
ⓢ
ⓟ
ⓣ
뜻(설명)
신라시대 승려. 인도로 간 구법승(求法僧). 현각(玄恪)과 토번(吐蕃: 西藏)으로 가서 당 태종(唐太宗)의 딸로 티베트 왕 송첸캄포에게 출가한 문성공주(文成公主)의 보호를 얻어 북천축(北天竺)으로 들어갔다. 사란타국(闍闌陀國, Jullundur)에 4년 동안 머무르면서 경률(經律)을 배운 뒤, 남쪽의 대각사(大覺寺: 마하보디 사원)로 옮겨가서 4년 동안 구사학(俱舍學)과 율의(律儀)를 익혔다. 이후에는 나란타사(那爛陀寺)에서 3년간 머무르며 승광법사(勝光法師)로부터 『중론(中論)』『백론(百論)』 등을 배웠으며, 보사자대덕(寶師子大德)에게 유가십칠지(踰伽十七地)를 받고 중국으로 돌아왔다. 당 고종의 명으로 다시 인도로 갔는데 나란타사에서 의정(義淨)을 만났으며, 60여 세의 나이로 인도의 암마라발국(菴摩羅跋國)에서 병을 얻어 입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