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행법회예참의식
본문
한자1
[現行法會禮懺儀式]
한자2
ⓢ
ⓟ
ⓣ
뜻(설명)
(목판본. 1책. 29.6×19.4cm) 조선시대 승려 석실명안(石室明眼, 1646~1710)이 찬술한 불교의식집으로 1709년(숙종 35) 경남하동 지리산 쌍계사(雙溪寺)에서 간행하였다. 『현행서방경(現行西方經)』과 합철되어 있으며, 『현행서방경』에 따른 신앙 의례의 절차를 서술한의식집이다. 『현행서방경』은 고려 충렬왕 때 원참(元旵)이 찬술한 것으로서방정토 왕생을 위한 진언법의 밀교적 정토 신앙을 설하였다. 명안은 지리산 칠불암에 머무르면서 이 책을 보고 현행 법회를 수련하다가 표찰(標札) 41개 중 ‘불(佛)’ 자를 얻어서원을 세운 뒤 개판하였다. 서두에 저자의 서문과 직지사제산(霽山)의 『현행서방경』에 대한 공덕과 영험담이 필사되어 있다. 의례의 절차는 먼저 서방 삼보를 의식 도량에 초청하는 계청서방삼보(啓請西方三寶), 옹호게(擁護偈)개계(開啓) 및 여러 진언을 수록하였다. 이어 팔관재계를 받는 「수팔관재계(受八關齋戒)」의 의식 절차를수록하였다. 팔관재계는살생도둑질사음거짓말음주 등을 하지 말고,높고 큰 자리꽃과 장식가무 오락을 금하라는 내용이다. 그리고 불보살에게 예불예참하는 절차와 밀교의 송주법(誦呪法)을 서술하고 있는데, 뭍과 물의 영혼을 위한 「수륙중생송주(水陸衆生誦呪)」, 국왕을 위한 「국왕송주(國王誦呪)」, 조상과 스승 등을 위한 「칠세부모다생사장송주(七世父母多生師長誦呪)」, 극락에 오르지 못한 구품 중생을 위한 「동회미등구품자송주(同會未登九品者誦呪)」 순이다. 마지막으로 축원 절차를 소개하고 「시식착어(施食著語)」를 수록하였다. 이 책은 조선 후기 정토 신앙의밀교적 전개 과정과 의례 연구에 도움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