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휘
본문
한자1
[玄暉]
한자2
ⓢ
ⓟ
ⓣ
뜻(설명)
(879~941) 신라시대 승려. 속성은 이씨이며 남원(南原) 사람. 영각산사(靈覺山寺)의 심광(深光)을 참배하고 출가하였다. 898년 해인사에서 구족계를 받고, 계행이 청정하였다. 어느 때 동반 10여 인과 함께 난리를 피하여 무주(武州)로 왔는데 도둑 떼가 습격하여 차례로 동행들을 죽이다 현휘의 차례가 되었다. 그러나 얼굴빛이 태연하여 조금도 두려운 기색을 보이지 않자, 도둑의 우두머리가 칼을 던지고 엎드려 절하면서 스승으로 섬기기를 원하였다. 906년 혼자 산에서 내려와 배를 타고 바다를 건너 중국 구봉산(九峰山)에 가서 도건(道乾)을 뵈니, 입실(入室)을 허락하므로 그 밑에서 참선하여 10일 만에 심요(心要)를 전해 받았다. 이곳에서 10년 동안 있다가 사방으로 다니면서 성지에 참배하고, 선지식들을 찾아보다가 사명(四明)에까지 이르러 본국에 고려가 새로 건국됐다는 소식을 듣고, 924년 귀국하였다. 고려 태조가 궁궐 안으로 맞아 정성으로 공경하여 국사의 예로 대우하였다. 후에 중주(中州) 정토사에 있으면서 사방에서 모여든 학인들을 지도하며 종지를 선양하니, 조정과 지방의 이름난 이들이 찾아와서 가르침을 받지 않는 이가 없었다. 941년(태조 24) 11월에 세수 63세로 입적하였다. 시호는 법경대사(法鏡大師). 탑호는 자등(慈燈). “유진고려국중원부고개천산정토사교시법경대사자등지탑(有晋高麗國中原府故開天山淨土寺敎諡法鏡大師慈燈之塔)”이라고 기록된 비문이 보물로 지정, 현재 충청북도 충주시 동량면 하천리 정토사 터에 남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