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혜거

본문

한자1
[惠居]
한자2
뜻(설명)
통일신라 말기에서 고려 초기의 승려이다. 통일신라시대인 899년(효공왕 2) 황려현(黃驪縣; 지금의 경기도 여주)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증(贈) 문하시중 박윤형(朴允滎)이고, 어머니는 김 씨이다. 914년(신덕왕 2) 16세에 출가하여 917년(경명왕 원년) 의정율사(義靜律師)로부터 구족계를 받았다. 929년(경순왕 2) 경순왕의 부름을 받고 영묘사에서 7일 동안 법회를 베풀었다. 고려 개국 후 태조 왕건으로부터 세 번이나 부름을 받았으나 응하지 않다가 947년(정종 2) 왕사로 봉해졌다. 962년(광종 13) 광명사(廣明寺)에서 인왕반야회(仁王般若會)를 베풀자, 광종이 그 노고를 치하하여 ‘원명묘각(圓明妙覺)’이라는 호를 내리고 선물을 하사하였다. 968년(광종 19) 광종이 왕사에서 국사로 승격시켜 고려시대 최초의 국사가 되었다. 972년(광종 23) 국사의 자리에서 물러나 수주부(水州府; 지금의 경기도 수원)에 있는 갈양사(葛陽寺)에서 기거하였다. 이때 광종이 많은 재물과 토지를 하사하였다. 갈양사에서 불법을 닦으며 여생을 보내다가 974년(광종 25)에 입적하였다. 사후에 광종이 홍제존자(洪濟尊者)라는 시호를 올렸다.